/body id =
반응형

이번에 매트리스를 하나 새로 사면서 이전에 쓰던 삼분의일 매트리스를 버리기로 했다. 1년 넘게 쓰기도 했고 최근에 이불 위에서 밥 먹다가 그대로 엎어버리는 바람에 기름진 음식을 흘렸는데 그게 그대로 남아 아무리 세탁해도 복구가 안됐기 때문이다.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절대 매트리스 위에서 기름진 음식 먹지 않기로...


1. 일반쓰레기와 달리 생활 대형폐기물의 경우 분리수거할 수가 없기 때문에 담당 지자체에 연락하여 수거해가도록 조치하고 있다. 이를 어기고 생활 폐기물을 임의의 장소에 함부로 투기하거나 방치했다간 조례법에 의해 벌금형 이상의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주의하도록 하자.


 

2. 지자체에 신고하고 배출해야하는 쓰레기들은 크게 대형폐기물, 건설폐기물, 사업폐기물 등이 있다. 쉽게 생각해 분리수거가 되지 않는데, 일반 쓰레기봉투에 넣을 수 없는 것들은 크게 대형 폐기물로 분류되며 장롱, 책상, 화장대 등이 속한다. 그 밖에도 자전거 유모차, 장판 등 부피가 그 너비가 큰 것들도 모두 폐기물 스티커를 부착해 배출해야 한다.


 

 

의정부시시설관리공단 통합예약결제

비회원이신 경우 본인인증 후 이용가능합니다. 비회원 인증

www.eticket.or.kr

3. 지자체의 시설관리공단홈페이지에 접속해, 본인인증을 한다. 본인확인을 통한 비회원 결제도 가능하니 굳이 회원가입할 필요 없다. 회원가입 안해도 되는게 일단 엄청 편리하다.


4. 업체에서 대형폐기물을 수거하러 올 주소를 적는다. 보통 아파트의 경우, 현관에서 못들어가는 경우가 많기 떄문에 추가 내용에 적어주는 것이 좋다. 실제로 나는 업체에서 현관을 못들어와서 폐기물 수거가 미뤄진 적이 있다.


5. 마지막으로 배출품목에서 내가 배출할 품목에 대해 선택하면 된다. 위 [품목 추가]버튼을 이용해 내가 배출하려는 대형폐기물 종류를 선택해준다. 뭐 거의 웬만한 폐기물 목록은 다 나와있으므로 천천히 찾아보고 선택하면 된다.


6. 아기 침대 매트리스의 경우 3천원, 1인용매트리스의 경우 5천원, 2인용매트리스의 경우 8천원이라고 하는데 사실 크기가 그렇게 차이가 나나 싶기도 하고 좀 그렇네. 참고로 대형폐기물 배출스티커의 비용은 각 지자체 별로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금액은 본인이 직접 시설관리공단에서 확인해보는게 좋다. 서울의 경우 매트리스 비용이 8천원인 곳도...


7. 마지막은 역시 돈, 결제를 해야한다. 선택만 하고 결제하지 않은 채, 배출일자가 지난다면 다시 이 짓을 해야하므로 잊지 말고 결제까지 진행하도록 하자.


8. 이후 폐김루배출신청내역 확인에서 배출 스티커를 인쇄하여, 대형 폐기물에 붙여주기만 하면 된다. 배출 스티커를 반드시 붙여야하는건 아니지만, 폐기물이 여러개 있을 경우 수거하는 업체에서 혼동을 할 수도 있으므로 웬만하면 붙이는걸 추천한다.


대형 폐기물 쓰레기 버리는게 귀찮아도, 이렇게 적법한 절차를 밟아 배출하는게 당연히 맞다는 생각이 든다. 푼 돈 아끼겠다고 차 타고 저 멀리 가서 몰래 버리고 오는 사람들이 간혹 티비에 나오곤 하는데, 나이를 먹은만큼 나이에 맞는 행동을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또한 이렇게 수거된 대형폐기물의 경우 수거 업체에서 필요한 것으로 재활용하거나 또는 폐기물이 필요한 곳에 전달되어 가공되어 다시 사용하기도 한다고 하니, 꼭 합법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