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id =
반응형

바이낸스 레버리지

바이낸스- 비트코인의 경우 최대 125배까지 레버리지 조정이 가능하다. 가격이 1% 변동되면, 수익/손실은 125%가 변동된다.

바이낸스 레버리지를 이용한 마진거래가 활발해지면서, 레버리지 관련된 투자가 많이 발생하는 것 같다. 사람들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 중 하나가 레버리지를 이용해 수익이 발생하면 N배지만, 손실이 발생해도 N배라는 점인데, 하긴 애초부터 잃을 생각을 염두하는 것도 뭔가 이상하긴 하지만 말이다.

 

\아무튼 바이낸스 기준 최대 125배(알트코인의 경우 대부분 100배)까지 마진이 가능하다. 본인도 125배 롱에 베팅해본 적 있는데, 청산가가 워낙 높게 설정되어서 정말 급락 한 번 발생하면 바로 청산되더라. 고배율 레버리지는 정말 청산에 유의하면서 투자해야 할 것 같다. 하긴 뭐, 1%만 올라도 125% 수익인 메리트도 이지만.


쉽게 말해 BULL은 올랐을 떄 3배의 수익 / BEAR는 내렸을 때 3배의 수익을 추종한다.

한국의 고팍스 거래소에서도 레버리지를 이용한 매매가 가능하다. 단 이 거래소는 3배율까지만 허용된다. 바이낸스의 125배에 비하면 턱 없이 낮은 배율수치지만, 그래도 우선 레버리지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이 우선 반갑긴 하다. 근데 바이낸스도 사용해보고, 고팍스도 사용해본 나로써는 고팍스는 정말 비추천이다. 아니 비추천이 아니라, 사용하지 않았으면 한다.  본인이 시세를 오르락내리락 할 수 있는 소위 말하는 '고래'가 아니고서야 롱이든, 숏이든 특정 시점엔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로 설계되어있으니까 말이다. 무슨 말인가 싶을텐데, 아래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하겠다.


- 우선 바이낸스의 레버리지 매매 메커니즘

애초에 바이낸스처럼 큰 거래소와 비교하는 것도 우습지만, 바이낸스의 레버리지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할 필요가 있어서 운을 뗀다. 본인이 바이낸스에서 리플 3배 레버리지 롱(매수)에 배팅한다고 가정해보자. (현재 30만원이 있고, 바이낸스의 리플 가격은 1,000원임) 이 경우 (수수료를 제외) 리플 300개를 살 수 있을 것이다. (300,000원/1,000원).

 

하지만 3배 레버리지를 사용할 경우 X3배를 한 총 900개를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원래 구매할 수 있는 한도보다 3배를 더 구매할 수 있기 때문. 마찬가지로 100배 레버리지를 선택하게 되면 최초 구매할 수 있는 한도보다 약 100배를 더 구매할 수 있다. 고배율을 사용할수록 그만큼 거래소에서 코인을 많이 빌린 꼴이 되기 때문에 청산가는 당연히 높아진다.

 

- 그럼 고팍스의 레버리지 매매는?

고팍스는 마진거래가 아니기 때문에 바이낸스처럼 코인을 빌린다는 개념이 아니라는 점을 염두해야한다. 따라서 다행히도 청산같은건 없다. 리플 가격의 상승 또는 하락에 따라 수익과 손실이 발생하지만, 고팍스의 경우 기준가격이 되는게 '리플'이 아니다. 리플BULL 또는 리플BEAR라는 별도의 롱/숏 포지션에 해당하는 코인에 투자하는 것이다. 즉, 리플에 투자하는게 아니고 리플BULL과 리플BEAR를 매수하게 되며, 이 코인을 매도하여 차익을 거두는 형태다. 눈치 챈 사람도 있겠지만, 리플과는 별도의 코인이기 때문에 리플 가격이 상승 또는 하락과 BULL/BEAR 코인의 상승/하락은 별개로 봐주어야 한다. 이 점에서 바로 가격괴리가 발생하고 고팍스의 끔찍한 시세차이가 생기는 것도 이 때문.

 

바이낸스가 '리플' 하나로 매수/매도 후 포지션을 청산하는 방식으로 수익/손실이 발생하는 구조라면, 고팍스는 코인마다 BULL, BEAR라는 별도의 종목이 있다는 점. 가장 큰 문제는 거래소에서 가격을 조정해주지 않고 100% 매수자/매도자에 의해 가격이 변경되기 때문에, 실제 리플의 가격을 추종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말이 어려운데 아래 캡쳐화면을 보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 2021.06.28 오전 5시 45분 차트 기준(바이낸스)

6월 8일,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극에 달하자, 옐런 장관이 금리 인상을 시사하였고, 이에 따라 새벽에 암호화폐의 가격이 급락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6월 8일 05:45분 리플의 경우 15분만에 -3.86%가 급락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리플의 가격이 3배 급락했으니 고팍스의 리플BULL의 가격은 대략 -11.58% 떨어져야하고, 리플BEAR의 가격은 +11.58%정도 상승하여야 한다. 그럼 고팍스 차트를 확인해볼까?

 

 

- 2021.06.28 오전 5시 45분 차트 기준(고팍스/리플BULL )

우선 리플BULL의 차트다. 15분봉 시가 37.53, 종가 33으로 약 -12% 정도 하락하였다. 바이낸스의 11.58%을 정확히 추종하진 못했지만 어느정도 이 정도의 추종오차범위는 호가 단위 등의 격차로 이해할 수 있다. 무엇보다 바이낸스도 거래량이 많은 거래소의 하나일 뿐, 반드시 바이낸스의 가격을 추종할 필요도 없다. 리플BULL에서의 큰 문제는 없다. 다음은 리플 하락에 배팅하는 리플BEAR를 확인해보자.ㅈ

 

- 2021.06.28 오전 5시 45분 차트 기준(고팍스/리플BEAR)

동일한 시각의 리플BEAR를 확인해보면, 시가도 0.0039 종가도 0.0039로 변동이 없다. 즉 동일 시간대에 리플 롱 3배를 추종하는 BULL의 경우 무려 12%가 급락하였지만, 숏 3배에 베팅하는 BEAR의 경우 단 0.1%도 오르지 않았다는 것. 사실상 심각한 문제 아닌가 싶다. 특히나 거래량이 없는 이런 새벽시간 때는 더욱 기초자산 추종을 못하는 것 같다.


上 - 코스피 레버러지 / 下 코스피 인버스

코스피에 상장되어있는 레버리지 / 인버스X2가 코스피 지수의 2배를 거의 정확히 추종하는 것에 비하면, 고팍스의 리플은 거의 추종기능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통상 롱과 숏 / 매수와 매도는 위 그래프처럼 반대차트로 형성되어야한다. 기초자산의 변동에 따라 숏의 자금이 롱으로, 롱의 자금이 숏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2배 레버리지도 마찬가지고 3배 레버리지도 마찬가지다.


사실 고팍스에서 사용하는 BULL/BEAR는 고팍스에서만 사용되는 레버리지 토큰은 아니다. 뭐 레버리지 거래를 이미 많이 하는 사람들이라면 유명한 거래소인 FTX라는 해외거래소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이후 암호화폐 불장과 레버리지 거래가 뜨거워지면서 아마 고팍스에서도 따라서 상장한게 아닐까 생각중인데,

 

진짜 어이없는건 이 FTX거래소와의 가격조차도 그 괴리도 굉장히 심하다는 점이다. 쉽게 말해 업비트와 코인원의 코인 가격의 괴리가 심하다는 점인데, 거래소마다 코인 가격이 다르다는건 코린이들도 전부 아는 사실. 하지만 아래 그림처럼 이렇게 격차가 생겨버린다면 어떨까?

 

좌측은 FTX거래소의 리플 BEAR차트다. 우측은 고팍스의 리플 BEAR차트다. FTX거래소의 경우 위에 설명한 5시 45분에 급10% 정도의 급등이 발생하였다. 리플 가격이 3% 정도 하락하였으니 당연한 상승이다. 동일 시간대 고팍스의 리플BEAR는 단 0.01%도 오르지 않았다. 5시 45분 이후에 조금씩 가격상승이 있긴했지만, 3배 레버리지만큼의 추종치만큼 상승하진 않았다. 현재도 FTX보다 낮은 시세로 계속하여 거래중이다.


포스팅이 길어졌는데, 본 포스팅에 핵심 내용을 정리하자면.

 

=> 1. 고팍스에서 거래하는 3배 레버리지 (BULL/BEAR)는 100% 매수/매도 참여자들에 의해 가격이 정해지며 그 결과, 기초자산의 가격을 정상 추종할 수 없다.  특정 상황에 BULL도 BEAR도 손실을 보는 구조가 생길 수도 있다.

 

=> 2. 따라서 레버리지 거래를 하고 싶다면 원화로 코인을 구매하여 바이낸스로 이동하여 진행하는게 좋다. 혹 BULL/ BEAR거래를 계속하고 싶다면 거래량이 많은 FTX거래소를 이용하여야 하는게 효율적이다. 

 

=> 3. BULL/BEAR 코인의 경우 가격이 0원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일 00:02시에 가격이 리밸런싱된다. 이 말은 BULL/BEAR 토큰이 새로 발행 또는 소각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좀 어려운 개념이긴 한데, 며칠을 기다려서 BULL/BEAR의 가격이 평단까지 올라왔다고 하더라도, 내 계좌는 여전히 손실 상태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4. 진짜 고팍스에서 BULL/BEAR거래는 하지말자. 진짜 고팍스에서 BULL/BEAR거래는 하지말자. 진짜 고팍스에서 BULL/BEAR거래는 하지말자. 진짜 고팍스에서 BULL/BEAR거래는 하지말자. 진짜 고팍스에서 BULL/BEAR거래는..


그럼에도 불구, 본인이 고팍스에서 비트코인이니, 이더리움이니 BULL/BEAR 레버리지 거래를 반드시 해야겠다면, 해당 페이지의 「주의」 를 한 번쯤은 확인해보도록 하자. 00:02시에 가격이 리밸런싱된다는 말은 정말 중요하니, 반드시 숙지!

반응형